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고관여제품
- 파이어족
- 파킹통장뜻
- 월세 세액공제 조건
- 경리자격증
- YOLO
- 스타벅스지수
- 리치싱글
- 2024년최저시급
- 청년월세지원
- 욜로
- 저관여구매행동
- 카페라떼지수
- 파킹통장금리비교
- 저관여제품
- 귤다이어트방법
- 월세세액공제뜻
- K패스교통카드
- 풀마케팅
- 국민연금뜻
- 사무경리전문가1급
- 푸쉬마케팅
- 저관여
- 스테그플레이션뜻
- 전세집체크리스트
- 리치싱글뜻
- 욜로족
- 카카오뱅크한달적금
- 사무경리자격증
- 국가장학금2유형
- Today
- Total
탕탕펑펑의 재미있는 공간
낙수효과 vs 분수효과란 ?! 뜻 알아보기 본문
안녕하세요 크림범벅입니다 반갑습니다 짝짝짝
흠 오늘은 핏짜를 먹었어요 ㅋㅋㅋ 낄낄낄
포테이토치즈바이트 핏짜를 먹었습니다
오랜만에 인스턴트 확올라오는 음식 먹어서 좋았네요
그리고 일찍 퇴근하고나서 한숨 잤더니 컨디션 뿜뿜이에요!
쟈쟈 각설하고 이번 포스팅은..
낙수효과와 분수효과에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낙수효과
자 먼저 낙수효과란 정부가 경제적책으로 대기업과
고소득층 또는 부유층의 소득과 부를 먼저 늘려주게 되면
이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를 통해 전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결국에는 중소기업과 저소득 층도 혜택을
볼수있다는 주장.을 뜻합니다........
20:80 법칙인가요? ㅇ_ㅇ(......아냐? -_-)
자 부동산을 예로 들어보죠,
부동산에서의 낙수효과는 인기있는아파트값이 상승하면 주변의
아파트 가격도 같이..덩달아상승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신축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주변의 노후된 아파트들도 같이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됩니다이것을 낙수효과. 간단하죠?
부동산에서는 일정 지역의 집값을 잡으려고 규제를 강화했더니
그 수요가 올라가고 변동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분수효과
자 이제 분수효과를 봅시다.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저소득층과중산층의 소득을 먼저 늘려주면
이들의 소비확대가 생산과투자로 이어지면서 전체 경제활동이 되살아나고
이로 인해 고소득층의 소득도 늘어날수 있다는 주장을 뜻합니다.
(........좋네요?-_-나 저소득층인뎀.. 좀 늘려주라~)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즈의 논리이죠..
분배보다는 성장에, 그리고 저소득층보다는 고소득층에 중점을 둔
낙수효과와는 정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부동산으로 예를들면...부동산에서 분수효과는
많은 사람들이 투자처로 부동산을 찾기 시작하면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 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확확 오르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이 둘의 차이... 이제 좀 보이시나요 ???
낙수효과는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내려가고
분수효과는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올라가는 느낌입니다.
케인즈의 이론은 이렇습니다 (분수효과)
민간 소비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고
민간소비를 자극해야 한다고 강조 했습니다..!!
케인즈는 왜 저소득층 및 중산층에 주목했냐면
그냥뭐 자기가 저소득층이라서 뭐 그렇게 살아봐서그런건아니고요
(당연히 아니겠지-_-)
이유는 바로 소득 수준별 한계소비성향 차이 때문입니다.
케인즈는 저소득층의 한계소비성향이
고소득층에 비해높다고 생각했다고 하는군요..흠...
자.. 여기까지 분수효과와 낙수효과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이 이론이 지론이든 아니든..
어쨋든 맞는 방향으로경제성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 (13월의 월급 받아보자!) (0) | 2022.10.31 |
---|---|
스테그플레이션 뜻!! (정의 및 발생하는 이유!!) (0) | 2022.10.23 |
연금보험 vs 연금저축보험 뜻과 차이점!! (0) | 2022.10.14 |
계좌이체 잘못햇을때 대처방법!! (1) | 2022.10.12 |
리치 싱글에 대해서!! (리치 싱글 뜻) (1)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