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패스교통카드
- 파킹통장뜻
- YOLO
- 파이어족
- 저관여
- 사무경리전문가1급
- 2024년최저시급
- 카카오뱅크한달적금
- 저관여제품
- 월세세액공제뜻
- 전세집체크리스트
- 월세 세액공제 조건
- 푸쉬마케팅
- 리치싱글뜻
- 리치싱글
- 귤다이어트방법
- 국가장학금2유형
- 파킹통장금리비교
- 고관여제품
- 저관여구매행동
- 카페라떼지수
- 스테그플레이션뜻
- 욜로
- 스타벅스지수
- 경리자격증
- 욜로족
- 사무경리자격증
- 청년월세지원
- 풀마케팅
- 국민연금뜻
- Today
- Total
탕탕펑펑의 재미있는 공간
주택연금 뜻과 가입조건 기타등등 알아보기!! 본문
안녕하세요 크림범벅입니다 반갑습니다 짝짝짝
몇일동안 쌈채소를 먹었더니 건강해지는 느낌이에요
그거 아세요? 쌈채소에 쌈싸먹을때 통조림참치랑 같이 먹으면
맛있는거!! 진짜 맛있어요오오 ㅋㅋㅋ
강된장이랑 같이 먹으면 존맛탱 ㅠㅠ 흐규흐규
쟈쟈 각설하고 이번 포스팅은.. 주택연금입니다..
우리나라의 고령층 빈곤율이 높은 동시에.. 주택 보유율도 매우 높다는 특성이 있지요.
이에 정부는 저소득자를 중심으로 노후빈곤을 완화하기 위해
주택연금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주택연금이란?
집을 소유하고있는 만 5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 일정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수입을 얻을수 있도록 집을 담보로 맡기고 자기 집에
살면서 매달 연금을 받을 수있도록 마련된 제도 (이 얼마나 좋습니꽈!!)
그거 아시나요. 우리나라는 OECD국가중에서 노인빈곤율이 1위라는거..
좋은 정책이 아닐까합니다. 국민연금 노령연금.주택연금까지!!
>> 만 55세이상 (주택 소유자 또는 배우자)의 대한민국 국민이 소유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혹은 일정기간동안 매월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
자금을 지급받는 국가 보증의 금융상품= 즉 역모기지론입니다. !!
주택연금 장점
일단..평생동안 가입자 및 배우자 모두에게 거주를 보장해주고요.
평생거주하고 '평생'지급됩니다..
부부중한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연금 감액없이 100프로 동일 보장합니다.
나라가 망하지 않는한.. 은행이 아닌 국가가 보증하기 때문에
연금 지급 중단 위험이 없습니다.
합리적인 상속도 장점 중의 장점이구요 !!
주택연금 가입 조건
1.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
2. 부부중 1명이 대한민국 국민
3. 부부 기준 공시가격 등이 9억원 이하 주택 소유자
4. 다주택자라도 합산 가격이 공시가격 등이 9억원 이하면 가능
5. 공시가격 등이 9억원 초과 2주택자는 3년 이내 1주택 팔면 가능
연금 지급유형은 종신방식, 확정기간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이 있는데
아래 표는 종신방식입니다. 선택 빈도가 높아서 종신방식을 보여드립니다.
예시 보이시죠? 70세 부부가 3억원 주택 기준으로 매월 92만 6천원을 받을수있습니다.
오호라 ~
연령이 낮고 소유하고있는 주택의 공시지가가 얼마 되지 않는다면
주택연금을 받게 되는 연금도 축소될수 있지만.... 거의 백만원에 달하는 돈을
매달 지급받을수 있으니... 빈곤율이 높은 울나라에서 굉장히 매력적이고 개이득인
정부부동산정책이 아닐수 없습니다!!
하지만.. 벗뜨!! 주택연금의 단점도 있습니다.
집값 상승율이 반영되지 않고, 해지시 부담해야하는 불이익이생각보다 큽니다 커요 ~
돈 받으려고 하는게 바로 연금인데...
가입하려면아주 비싼 가입비를 내야한다는 어마어마한 단점이 덜덜덜
연금 수령액 조회 및 예상 수령액 확인
한국 금융공사 홈페이지 (www.hf.go.kr) 접속후 '주택연금' 선택후
"예상연금조회"클릭한 후 아래의 항목에 입력한 수 조회 하기를 클릭하면 예상 연금 금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택연금.... 손익계산을 꼼꼼히 명확하게 하시고 가입하시기를 바랍니다.
주택연금도 울나라의 노인빈곤율을 줄이기 위함이니
그래도 득이되는 부분이겟지요?
물론 단점은 명확하지만요.. !!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은 왜 내야할까, 국민연금 뜻! (3) | 2024.10.13 |
---|---|
2024년 최저시급 결정, 9860원 인상! (약간 아쉽^^) (0) | 2023.07.24 |
월세 세액공제 조건과 방법 알아보기!! (feat.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1) | 2022.11.03 |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 (13월의 월급 받아보자!) (0) | 2022.10.31 |
스테그플레이션 뜻!! (정의 및 발생하는 이유!!)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