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탕펑펑의 재미있는 공간

4대보험 뜻, 4대보험은 왜 내야할까?! 본문

경제 이야기

4대보험 뜻, 4대보험은 왜 내야할까?!

탕탕펑펑 2022. 10. 5. 23:5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마토입니다 반갑습니다

요즘은 천원짜리 변호사가 대세던데 저는

시대를 약간 역행해서 우영우 보고있네요 ㅋㅋㅋ

재밌어요 ㅋㅋㅋ 왜 이렇게 재밌는걸 못봤을까요

작은아씨들도 재밌는데 그건 너무 우울해서 ㅠㅠ

보다가 그냥 말았습니다... 자 그나저나

이번 포스팅은 4대보험 뜻과 왜 내야하는 이유!!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겁내 적은 월급인데 4대보험을 거기서 왜 또 떼가냐

불만 많으신 분들도 계시고 그렇다고해서

병원 다닐려면 건강보험 내야한다 

뭐 이런 복잡한 생각도 들고요 ?? ㅎㅎ

일단 4대보험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4가지 보험을 묶어 말합니다.

직장인에게는 선택권이 전혀 없으며

국가에서 알아서 수금해 가는 항목 되시겠습니다 ! ! !

 

4대보험이라는 우리의 월급중 지분율은 약 8.65% 정도?!

즉 연봉이 만약 3천만원정도이고 한달에 월급이 250만원이라면

연 260만원은 당신의 노후생활과 의료비를 위해

 

나라님들이 알아서 가져가고..... 어떻게 ?? 원천징수로 ^^

차암 빼먹지도 않고 야무지게 챙겨가십니다. ㅎㅎㅎ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이렇게 총 4가지 되겠습니다 :) 후훗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보건복지부에서,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고용노동부에서 담당하고 있어요

 

그래서 말인데.... 4대보험 왜 내야할까?!

이유부터 알아봐야겠죠

낼때 내더라도 이유는 알고 내자! 뭐 이런거죵?!

바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최소한을 보장받기 위함입니다"

사람일은 정말 모릅니다. 실업을 하게 될수도 있고

사고가 나서 장애를 얻게 될수도 있고... 나이가 들어서

더이상 일을 못하게 될수도 있으니 이때를 대비한

안정장치이며 이걸 월급에서 8.65% 뗀다는거죠

 

즉 4대보험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회정책들을 위한 보험으로

국민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방식에 의해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어쨋든 치아보험, 태아보험과는 다르게

국가에서 주관하는 보험이랄까요

태양을 피하고싶었어 ~~ 피할수 없는 보험이랄까요???

경제적인 생활을 하고 떳떳한 직장인이라면

당연히 내야하는게 바로 4대보험입니다.

1. 국민연금

일단 국민연금은 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등등의 분야에서 보장받을수 있습니다.

 

tmi. 국민연금은 4대보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구요. 2019년 기준 국민연금은 월급에서

9% 내게 되어있습니다. 다행히도 9%중

반은 내가 내고 올 나머지 반은 우리 싸장님이 내주십니다?

오호라 ~ 싸장님을 그렇게 미워하고

원망할 필요도 없겟네요! (-_-)ㅎㅎㅎ

 

2.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아시다시피 우리가 아플때

병원비를 위로해주는 친구같은 존재입니다.

우리의 병원비, 주삿값, 약값등을 도와줍니다

치매진단까지 비용을 지원해준다니 와우내

 

아 2020년부터는 6.67% 소폭 인상된다고 합니다?(-_-)

무슨 콩나물 김자반 오징어값 물가 오르는것도

아니고 뭘 또 오르고 그럽니꽈 ?? ㅠㅠ 흐규흐규

 

어쨋든 건강보험은 어릴적부터

거의 모든 국민이 한번 이상은 혜택을

봤다고 해도 무리가 없죠 !

 

3. 고용보험

이것또한 사장님이 고통분담 차원에서

내주십니다 짝짝짝

 

실업급여 (젤 중요)

고용창출/안정/유지 장려금

출산 및 육아 관련급여

직업 능력 개발 훈련 지원금

 

등등 근로자의 고용에 관련되어

여러분야에서 보장받을수 있습니다.

언제 짤릴지 모르니 실업급여 중요하죠!

우리의 미래는 불안하니까요!

4. 산재보험

 

산재보험도 사장님이 많이~ 전액 부담해주시면서

우리가 일을 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업무상의 재해를 보상받을수 있습니다.

 

요양급여

직업재활급여

간병급여 등등

 

 

그러니까 결론은 연봉계약서의 10%는 우리의 돈이 아니라는것!

내가 회사와 계약한 연봉 중에서 적게는 10% 많게는 20%까지

내것이 내가 내가 아닌척 힘든척 싫은척을 해야합니다. (-_-)

그래도 은퇴 이후에는 국민연금.. 아플때는 누군가의

수발이 필요할때 요양보험 등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그냥 진짜 '보험'든다고 생각합시다.

 

보험료는 앞에서 말했듯 원천징수되고

그러니까 일용직이든 정규직이든 일단

일을 하게 되면 무조건 4대보험은 다 가입되게 되있습니다

이가입은 고용한 쪽에서 국가에 신고를 하게 되는거죠

 

그래서 보험료의 납부 역시 고용주가 매달 1~10일

직접 국가에 납부하게 됩니다.

사회초년생분들은 모를수도 있겟네요 ㅎㅎ 

 

자.. 이번에는 4대보험에 대해 알아봤고

왜 !!! 내야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일단 내 월급의 10%가까운 것이 쌩돈이 나가는뎀

왜 내야할까는 알아야겟죠 ?? ㅎㅎㅎ

받을 돈은 받아야하고 내야할 돈의 이유는 알아야

아는게 힘이고... !! 그리고 안속고살지요

(너무 멀리갔어? -_-)

자.. 여기까지 4대보험 내용이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ㅎㅎㅎ 

728x90
반응형
Comments